중상해사고
  • #교통사고 마비
  • #법원신체감정
  • #교통사고피해자
  • #교통사고후유장해
  • #교통사고골절
  • #교통사고보상
  • #장해평가
  • #신체감정
  • #말초신경장해
교통사고 장해기준 [상지의 장해기준]

어깨관절, 팔꿈치 관절, 손가락 등 신체에 장해가 발생했다면,

보통 상지에서 발생하는 장해에는 절단, 골절 등으로 치료를 받았지만 운동 각도의 제한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뼈 뿐만아니라 팔을 지배하는 신경까지 손상이 된다면 말초신경의 장해까지 예상해볼 수 있는데요.
교통사고 피해자는 골절 뿐만아니라 말초신경 장해까지 반드시 따로 받아서 합산하여 추가 주장을 해야합니다.

보통 상지에서 발생하는 장해에는 절단, 골절 등으로 치료를 받았지만 운동 각도의 제한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뼈 뿐만아니라 팔을 지배하는 신경까지 손상이 된다면 말초신경의 장해까지 예상해볼 수 있는데요.

어깨관절부터 팔꿈치 사이의 절단이면 59%, 팔꿈치 관절과 손 사이이면 49%, 손가락의 경우 세부 부위에 따라서 4~22% 사이로 정해집니다.
또 운동각도의 제한이 있는 경우는 어깨관절의 경우 18~55% 사이 팔꿈치 관절의 경우는 18~41% 사이, 손목 관절의 경우에는 4~16%사이인데요.
저희가 실무적으로 일을 할 때 가장 많은 케이스는 손목 관절이 많으며, 이 손목관절이 잘 움직이지 않아 13%의 장해율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지에서 많이 손상되는 신경은 상완신경총, 요골신경, 정중신경, 척골신경입니다.
상완신경총은 목, 경추에서 나오는 신경인데요. 이 또한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기 때문에 골절 뿐만아니라 말초신경 장해까지 반드시 따로 받아서 합산하여 추가 주장을 해야합니다.

추천영상

  • #교통사고 사망합의금
  • #보상과배상 승소사례
  • #손해배상 청구

버스정류장 보행자 사망, 손해배상액 1억 원 승소

  • 버스정류장 보행자 사망사건, 손해배상액 1억 원 승소
  • 안녕하세요. 교통사고 보험 전문 전경근 변호사입니다. 이번 영상에서 설명드릴 보상과배상 성공사례는 버스정류장 근처의 도로에서 걷고 있던 피해자가 뒤쪽에서 버스정류장으로 오고 있던 버스에 충격을 당해서 돌아가시게 되었고, 피해자의 유족분들이 가해 버스의 보험사에 대해서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례입니다.   (사건의 개요)   이 사건에서 피해자는 낮에 시장 안에 위치한 버스정류장의 옆 도로를 걷고 있었는데요, 이 피해자 뒤에서 버스정류장으로 오던 버스가 앞을 제대로 보지 않고 좌회전해서 버스정류장으로 들어오면서, 바로 앞에서 걷고 있던 피해자를 발견하지 못하고 그대로 충격하는 사고를 일으켰습니다. 버스는 차체가 크기 때문에 회전반경도 크고 운전자 시야의 사각지대도 많아서 주변에 보행자가 있는지 없는지를 잘 살피고 운전해야 하는데요, 버스 기사가 앞을 제대로 살펴보지 않고 운전을 하다가 사고를 낸 것이었습니다. 게다가, 사람이 부딪혔으면 빨리 멈췄어야 하는데 충돌 이후에도 그대로 앞으로 움직이는 바람에 피해자는 차 밑에 깔리게 되었고 더 크게 다치시면서, 사망하시게 되었습니다. 결국 피해자의 유족분들은 가해 버스의 공제 회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게 되었습니다.

개인정보수집 및 동의
개인정보보호정책 내용이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이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이용약관
이용약관 내용이 들어가는 영역입니다.